텍스텀 클럽
Textum Club

텍스텀 클럽(Textum Club)은 패션비평과 관련된 프랙티스와 출판을 위한 연구모임입니다. 직물을 뜻하는 ‘textile’과 글을 의미하는 ‘text’의 공통 어원인 ‘엮다’는 뜻을 가진 텍스텀 클럽은 패션 비평 아카이브로써 비평적 패션(Critical Fashion) 관련 국내외의 도서를 소개합니다.

비평적 패션 프로젝트 및 담론의 지속적 연구와 확산을 위해 전시, 출판, 연구, 워크숍 등 다양한 활동을 추진하여 국내외의 디자이너, 예술가, 연구자, 패션종사자의 네트워크장으로써 기능하고자 합니다.

Textum Club is a research group dedicated to practices and publishing in fashion criticism based in Seoul. Derived from the common roots of 'textile' and 'text,' meaning 'to weave,' Textum Club introduces books and articles related to critical fashion as part of its fashion criticism archive.

It aims to serve as a networking platform for designers, artists, researchers, and fashion practitioners globally through various activities including exhibitions, publishing, research, and workshops.

멤버
Members
  • 김서희는 세히쿄(SEHIKYO) 프로젝트를 운영하며 착용자들과 협업하는 방식으로 옷을 입는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전시, 워크숍, 프레젠테이션을 통해 전통적 패션 시스템에 의존하지 않는 대안적 프랙티스를 연구하고자 합니다.
    www.sehikyo.org

    The SEHIKYO project is managed by Seohee Kim, who shares innovative ideas about clothing through collaboration with wearers. Through exhibitions, workshops, and presentations, she explores alternative practices that challenge the traditional fashion system, aiming to establish a new paradigm in how fashion is perceived and practiced. More details about her work and contributions can be found on the www.sehikyo.org

  • 김연우는 큐레이터, 연구자, 제작자로 활동하고 있으며, 텍스텀 클럽의 공동 창립자로서 패션 비평과 관련된 연구, 전시, 출판 활동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그녀는 2023 청주 공예 비엔날레를 비롯하여 서울과 제주에서 공예와 예술 관련 다양한 전시를 큐레이션했습니다. 연세대학교에서 철학과 의류환경을 공부한 후, 센트럴 세인트 마틴과 영국 왕립 예술 대학교에서 패션을 전공했습니다. 그녀는 패션 현상의 철학적 분석에 대한 이론과 실천을 연구하며, 패션에 대한 대안적인 시각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www.fashionknowledgehoarder.com

    Yeonwoo Kim works as a curator, researcher, and maker, and is a co-founder of Textum Club, where she engages in research, exhibitions, and publishing related to fashion criticism. She has curated various craft and art exhibitions in cities including Seoul and Jeju, notably the 2023 Cheongju Craft Biennale. After studying philosophy and clothing environment at Yonsei University, she pursued fashion at Central Saint Martins and the Royal College of Art in the UK. She researches the theory and practice of philosophical analysis of fashion phenomena, aiming to provide an alternative perspective on fashion. More details about her work and contributions can be found on the www.fashionknowledgehoarder.com

  • 황혜림은 시각예술 및 공예 분야에서 활동중인 큐레이터입니다. 분단, 장애, 게임, 웹툰 등 경계에 머무는 것들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갖고, 연구 및 전시 활동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Hwang Hyerim is a curator active in the fields of visual arts and crafts. She has a keen interest in topics residing at boundaries such as division, disability, gaming, and webtoons, and is involved in research and curatorial projects related to these themes.

참여자
Contributors
  • 텍스텀 클럽의 활동에 관심이 있는 여러분의 참여를 환영합니다! 패션과 관련된 책이나 주제를 추천해주세요. 또한 문의사항이 있다면 언제든지 저희에게 메일을 보내주세요.

    We welcome your participation in Textum Club’s activities! Please recommend books or topics related to fashion that interest you. If you have any questions, feel free to email us at any time.

문의
Contact

textum.club@gmail.com
@textum.club

textum.club@gmail.com
@textum.club

여성의 몸은 응시의 대상이기만 할까?
Is a woman's body only an object of gaze?
『Revisiting the Gaze: The Fashioned Body and the Politics of Looking』
『Revisiting the Gaze: The Fashioned Body and the Politics of Looking』
Book Review

응시 이론의 기원과 진화: 여성 재현의 역사를 이해하다

응시 이론(Gaze Theory)은 1975년 로라 멀비(Laura Mulvey)의 논문 ‘시각적 쾌락과 내러티브 영화'(Visual Pleasure and Narrative Cinema)에서 처음 소개되었다. 멀비는 이 논문에서 영화 속 여성 캐릭터가 남성 관객의 성적 욕망을 충족시키기 위해 어떻게 재현되는지를 설명하며 ‘남성적 응시’라는 개념을 제시했다. 이 개념은 프로이트와 라캉의 정신분석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성적 불균형이 존재하는 세계에서 시각적 쾌락이 남성적/능동적과 여성적/수동적으로 나뉘는 방식을 설명했다. 남성 관객의 시선은 능동적이며, 여성 캐릭터는 수동적으로 그려진다는 것이다. 이러한 응시 이론은 초기 페미니즘 영화 비평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여성의 재현과 성적 객체화에 대한 논의의 중심에 있었다.

 

이 책은 2017년 런던 첼시 예술대학교에서 개최된 동명의 컨퍼런스에서 발표된 여러 저자들의 연구 논문들을 모나 랭(Morna Laing)과 재키 윌슨(Jacki Willson)이 편집한 연구모음집으로, 응시를 둘러싼 복잡하고 다층적인 입장들을 동시대 디지털, 신자유주의 시대의 상황 속에서 재분석한 것이다. 특히, 남성적 응시의 개념이 처음 나왔을 당시에는 논의되지 않았던 퀴어, 임신한 몸, 뚱뚱한 몸, 다양한 민족, 문화와 관련된 응시의 다면성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몇 가지 내용만을 소개하겠다.

 

여성의 몸은 응시의 대상이기만 할까?

책의 2장 ‘Double acts: Oscillating between optical and haptic visuality in a digital age(이중 작용: 디지털 시대의 광학 및 촉각 시각성 사이의 진동)‘에서 모 트롭(Mo Throp)과 마리아 월시(Maria Walsh)는 여성들이 단순한 응시의 대상이 아니라, 응시의 주체로 등장하는 방식을 탐구한다. 여성 비디오 아티스트들의 작업을 통해, 디지털 시대에서 여성들은 자신의 이미지를 능동적으로 구성하며 타자의 응시를 요구하는 주체로서 자신을 재현한다. 여기에서 디지털 미디어는 여성들이 자신을 새로운 방식으로 표현하고, 응시를 통해 자기 정체성을 확립하는 도구로 사용된다. 이는 전통적인 수동적 이미지에서 벗어나 능동적으로 응시에 대응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러한 주체성은 때로는 범죄의 대상이나 감시의 대상으로 전락할 수도 있는 모순을 포함하고 있다. 이는 여성들이 응시의 주체로서의 권력을 가질 수 있지만, 동시에 그로 인해 새로운 형태의 억압이나 감시를 받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슬람의 젊은 여성들이 다시 베일을 쓰는 이유

책의 4장 ‘The veiled body: The alienated system of ‘looking’ in post-revolutionary Iran (1979–present)(베일을 입은 몸: 후기 혁명 시대의 이란에서의 ‘봄’의 소외된 시스템(1979-현재))‘에서 아자데 파테라드(Azadeh Fatehrad)는 현대 이슬람 사회에서 젊은 여성들이 베일을 자발적으로 선택하는 이유를 탐구하며, 이는 외부의 응시를 차단하고 자신을 보호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고 설명한다. 그녀는 베일이 여성들에게 단순한 억압의 도구가 아니라, 그들을 보호하고 주체성을 지키기 위한 전략적인 선택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는 베일이 여성들에게 실질적인 자유와 보호를 제공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기존의 부정적인 시각을 넘어선 새로운 이해를 제시한다.

 

비욘세의 임신

책의 7장 ‘Making Lemonade?: Beyoncé’s pregnancies and the postfeminist media gaze(메이킹 레모네이드?: 비욘세의 임신과 포스트 페미니스트 미디어 응시)’에서 마우린 레토 브루스터 (Maureen Lehto Brewster)는 비욘세의 임신이 미디어에서 어떻게 재현되는지를 분석한다. 비욘세는 임신한 몸을 아름답게 드러내며, 이는 임신한 여성의 몸이 숨겨야 할 것이 아니라 축하받아야 할 것임을 강조한다. 그녀의 임신 사진은 화려하고 예술적으로 꾸며져 있으며, 이는 포스트페미니즘적 맥락에서 여성의 신체를 긍정적으로 재현하는 사례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동시에 이러한 재현은 임신한 여성의 몸마저 소비의 대상으로 만들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이는 포스트페미니즘적 맥락에서 여성 신체가 여전히 상품화되고 있다는 점을 드러내며, 비욘세의 사례가 가진 이중적인 측면을 보여준다.

‘응시’를 다시 생각해보다

이 책은 응시 이론의 현대적 변화를 다루며, 디지털 시대와 신자유주의적 맥락에서 응시의 개념이 어떻게 진화했는지를 보여준다. 초기의 응시 이론이 성적 불균형과 남성적 시선에 초점을 맞췄다면, 현대의 응시 개념은 교차적 정체성과 디지털 문화를 반영하여 더 복잡하고 다층적인 형태로 발전했다. 이를 통해 우리는 패션과 미디어에서 여성 신체의 재현을 더 복잡한 레이어 안에서 이해하고, 다양한 시선과 경험을 포용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이 책을 통해 우리를 둘러싼 응시의 문제가 능동/수동, 남성/여성, 자아/타인 등의 단순 이분법 도식으로는 결론낼 수 없으며, 이들 사이를 왔다갔다 움직이며 멈추지 않는 담론의 레이어를 형성하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 응시 이론의 복잡성은 패션 산업에서는 다양한 신체와 정체성을 포용하는 디자인과 마케팅 전략을 개발하여 더 포용적이고 윤리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게 한다. 동시에 패션 비평 담론의 영역에서는 응시 이론을 통해 패션 이미지의 사회적, 정치적 의미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다양한 시각에서 패션을 재해석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글. 김연우

https://textumclub.com/wp-content/uploads/2024/07/9781350154223.jpg
출처: https://www.bloomsbury.com/uk/revisiting-the-gaze-9781350154223/
Title
Revisiting the Gaze: The Fashioned Body and the Politics of Looking
Anthology Editor
Morna Laing, Jacki Wilson
Publisher
Bloomsbury Publishing
Published Year
2020

The Origins and Evolution of Gaze Theory: Understanding the History of Women’s Representation

Gaze Theory was first introduced in 1975 by Laura Mulvey in her essay “Visual Pleasure and Narrative Cinema.” Mulvey presented the concept of “male gaze,” explaining how female characters in films are represented to satisfy male spectators’ sexual desires. Based on psychoanalytic theories of Freud and Lacan, she explained how visual pleasure in a sexually imbalanced world is divided into male/active and female/passive. This theory played a crucial role in early feminist film criticism and centered discussions on the representation and sexual objectification of women.

 

This book is a collection of research papers edited by Morna Laing and Jacki Willson from a conference held in 2017 at Chelsea College of Arts, London. It reanalyzes gaze in the context of the contemporary digital, neoliberal era, discussing the complexities of gaze related to queer identities, pregnant bodies, fat bodies, and various ethnic and cultural perspectives not originally discussed when the concept of the male gaze was first introduced. Here, we introduce only a few topics.

Is a Woman’s Body Merely an Object of Gaze?

In Chapter 2, “Double acts: Oscillating between optical and haptic visuality in a digital age,” Mo Throp and Maria Walsh explore how women are not merely objects of gaze but also subjects of it. Through the works of female video artists, women in the digital age actively construct their images and represent themselves as subjects demanding others’ gaze. Digital media serves as a tool for women to express themselves in new ways and establish their identities through gaze. This shift from traditional passive imagery to actively engaging with the gaze, however, includes the paradox that such agency can also subject women to becoming targets of crime or surveillance. This suggests that while women can possess the power of the gaze as subjects, they may also face new forms of oppression or surveillance as a result.

 

Why Young Muslim Women Are Choosing to Wear the Veil Again

In Chapter 4, “The veiled body: The alienated system of ‘looking’ in post-revolutionary Iran (1979–present),” Azadeh Fatehrad investigates why young women in modern Islamic societies are choosing to wear the veil voluntarily, using it as a means to block external gazes and protect themselves. She argues that the veil is not merely a tool of oppression but a strategic choice to protect and maintain their agency, offering them actual freedom and protection, thus providing a new understanding beyond the traditional negative perceptions.

 

Beyoncé’s Pregnancy

In Chapter 7, “Making Lemonade?: Beyoncé’s pregnancies and the postfeminist media gaze,” Maureen Lehto Brewster analyzes how Beyoncé’s pregnancies are represented in the media. Beyoncé showcases her pregnant body beautifully, emphasizing that pregnant women’s bodies should be celebrated, not hidden. Her glamorous and artistically adorned pregnancy photos can be seen as a positive representation of women’s bodies in a postfeminist context. However, this representation also faces criticism for commodifying even the pregnant female body, highlighting the commodification of women’s bodies in postfeminism and the dual aspects of Beyoncé’s case.

Rethinking ‘The Gaze’

This book addresses the modern shifts in gaze theory, illustrating how the concept has evolved in the digital era and neoliberal context. While early gaze theory focused on sexual imbalance and the male gaze, the contemporary notion of gaze has grown more complex, reflecting intersectional identities and digital culture. This development urges a deeper understanding of women’s representation in fashion and media, moving towards a more inclusive and varied perspective.

The book reveals that the issues surrounding the gaze cannot be simply categorized into binary distinctions like active/passive or male/female. Instead, it creates a continuous discourse that navigates these binaries. In the fashion industry, this complexity has led to the development of designs and marketing strategies that embrace diverse bodies and identities, advancing towards more inclusive and ethical practices. In the realm of fashion criticism, gaze theory critically analyzes the soci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of fashion imagery, contributing to a reevaluation of fashion from various perspectives.

 

Yeonwoo Kim

https://textumclub.com/wp-content/uploads/2024/07/9781350154223.jpg
https://www.bloomsbury.com/uk/revisiting-the-gaze-9781350154223/
Title
Revisiting the Gaze: The Fashioned Body and the Politics of Looking
Anthology Editor
Morna Laing, Jacki Wilson
Publisher
Bloomsbury Publishing
Published Year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