텍스텀 클럽(Textum Club)은 패션비평과 관련된 프랙티스와 출판을 위한 연구모임입니다. 직물을 뜻하는 ‘textile’과 글을 의미하는 ‘text’의 공통 어원인 ‘엮다’는 뜻을 가진 텍스텀 클럽은 패션 비평 아카이브로써 비평적 패션(Critical Fashion) 관련 국내외의 도서를 소개합니다.
비평적 패션 프로젝트 및 담론의 지속적 연구와 확산을 위해 전시, 출판, 연구, 워크숍 등 다양한 활동을 추진하여 국내외의 디자이너, 예술가, 연구자, 패션종사자의 네트워크장으로써 기능하고자 합니다.
Textum Club is a research group dedicated to practices and publishing in fashion criticism based in Seoul. Derived from the common roots of 'textile' and 'text,' meaning 'to weave,' Textum Club introduces books and articles related to critical fashion as part of its fashion criticism archive.
It aims to serve as a networking platform for designers, artists, researchers, and fashion practitioners globally through various activities including exhibitions, publishing, research, and workshops.
テキスタムクラブ(Textum Club)は、ファッション批評に関する実践と出版のためのリサーチグループです。布地を意味する「textile」と、文章を意味する「text」という言葉の共通の語源である「編む(texere)」という概念に基づくテキスタムクラブは、ファッション批評のアーカイブとして、クリティカル・ファッション(Critical Fashion)に関連する各国の書籍を紹介しています。
批評的ファッションのプロジェクトやディスコースの継続的な研究と普及を目指し、展覧会、出版、リサーチ、ワークショップなど多様な活動を展開しながら、各国のデザイナー、アーティスト、研究者、ファッション関係者のネットワークの場として機能することを目指しています。
-
김서희는 세히쿄(SEHIKYO) 프로젝트를 운영하며 착용자들과 협업하는 방식으로 옷을 입는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전시, 워크숍, 프레젠테이션을 통해 전통적 패션 시스템에 의존하지 않는 대안적 프랙티스를 연구하고자 합니다.
www.sehikyo.orgThe SEHIKYO project is managed by Seohee Kim, who shares innovative ideas about clothing through collaboration with wearers. Through exhibitions, workshops, and presentations, she explores alternative practices that challenge the traditional fashion system, aiming to establish a new paradigm in how fashion is perceived and practiced. More details about her work and contributions can be found on the www.sehikyo.org
キム・ソヒはSEHIKYO(セヒキョ)プロジェクトを運営し、着用者との協働を通じて「服を着る」というアイデアを共有しています。展覧会、ワークショップ、プレゼンテーションを通して、従来のファッションシステムに依存しない代替的なプラクティスの探求を目指しています。www.sehikyo.org
-
김연우는 큐레이터, 연구자, 제작자로 활동하고 있으며, 텍스텀 클럽의 공동 창립자로서 패션 비평과 관련된 연구, 전시, 출판 활동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그녀는 2023 청주 공예 비엔날레를 비롯하여 서울과 제주에서 공예와 예술 관련 다양한 전시를 큐레이션했습니다. 연세대학교에서 철학과 의류환경을 공부한 후, 센트럴 세인트 마틴과 영국 왕립 예술 대학교에서 패션을 전공했습니다. 그녀는 패션 현상의 철학적 분석에 대한 이론과 실천을 연구하며, 패션에 대한 대안적인 시각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www.fashionknowledgehoarder.comYeonwoo Kim works as a curator, researcher, and maker, and is a co-founder of Textum Club, where she engages in research, exhibitions, and publishing related to fashion criticism. She has curated various craft and art exhibitions in cities including Seoul and Jeju, notably the 2023 Cheongju Craft Biennale. After studying philosophy and clothing environment at Yonsei University, she pursued fashion at Central Saint Martins and the Royal College of Art in the UK. She researches the theory and practice of philosophical analysis of fashion phenomena, aiming to provide an alternative perspective on fashion. More details about her work and contributions can be found on the www.fashionknowledgehoarder.com
キム・ヨヌはキュレーター、研究者、そしてクリエイターとして活動しており、テキスタムクラブの共同設立者として、ファッション批評に関するリサーチ、展覧会、出版活動を行っています。彼女は2023年の清州工芸ビエンナーレを含め、ソウルや済州で工芸とアートに関する様々な展覧会をキュレーションしてきました。延世大学で哲学と衣類環境を学んだ後、セントラル・セント・マーチンズおよび英国王立芸術大学でファッションを専攻しました。彼女はファッション現象の哲学的分析に関する理論と実践を研究し、ファッションに対する新たな視点を提示することを目指しています。www.fashionknowledgehoarder.com
-
황혜림은 시각예술 및 공예 분야에서 활동중인 큐레이터입니다. 분단, 장애, 게임, 웹툰 등 경계에 머무는 것들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갖고, 연구 및 전시 활동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Hwang Hyerim is a curator active in the fields of visual arts and crafts. She has a keen interest in topics residing at boundaries such as division, disability, gaming, and webtoons, and is involved in research and curatorial projects related to these themes.
ファン・ヘリムは、視覚芸術および工芸の分野で活動しているキュレーターです。分断、障害、ゲーム、ウェブトゥーンなど、境界にとどまるものごとに強い関心を持ち、リサーチや展覧会の活動に取り組んでいます。
-
텍스텀 클럽의 활동에 관심이 있는 여러분의 참여를 환영합니다! 패션과 관련된 책이나 주제를 추천해주세요. 또한 문의사항이 있다면 언제든지 저희에게 메일을 보내주세요.
We welcome your participation in Textum Club’s activities! Please recommend books or topics related to fashion that interest you. If you have any questions, feel free to email us at any time.
テキスタムクラブの活動にご関心のある皆さまのご参加を心よりお待ちしております。ファッションに関する書籍やテーマのご推薦もぜひお寄せください。ご質問などがありましたら、いつでもお気軽にメールでご連絡ください。
textum.club@gmail.com
@textum.club
textum.club@gmail.com
@textum.club
textum.club@gmail.com
@textum.club
천사도 악마도 아닌 패션
Fashion, Neither Angel nor Devil
天使でも悪魔でもないファッション
‘패션은 돌고 돈다’고 말한다. 겨우 스키니진 유행이 지나갔다고 생각했더니, 한동안의 Y2K 패션 유행 이후, 또 다시 스키니진 유행이 돌아온다는 말이 어디선가 슬슬 들려온다. 모든 것이 너무나 빠르게 변하면서, 동시에 아무것도 새롭지 않아 보이는 패션. 한번쯤 이런 생각을 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왜 사람들은 이토록 공허하고 무의미한 패션에 신경을 쓰는가?
한없이 덧없고 가벼운 패션
무엇보다도 덧없음과 미학적 환상에 의해 구조화된 제도가 어떻게 인간역사에서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는가? 다른 곳에서는 그렇지 않았는데 서구에서는 그렇게 되었는가? 기술의 지배를 받고 이성에 의해 정복된 시대가 어떻게 해서 그와 동시에 부조리로 가득한 패션의 시대가 있는가? 영구적인 체제로 격된, 경박스럽고 무상한 변화를 어떻게 사고하고 설명할 것인가?1
『패션의 제국』의 저자 질 리포베츠키는 패션의 덧없음, 비본질적인 것들은 패션의 중요한 특성이고 이는 서구의 민주주의 역사와 관련있다고 말한다. 이 책은 패션의 역사를 통해 현대 사회의 본질을 이해하려는 시도로, 패션이 단순한 유행을 넘어 사회 구조와 개인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그는 패션을 현대 사회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 보고, 패션이 개인주의와 민주주의와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 탐구한다.
외양의 마술
이 책의 전반부에서는 패션의 기원과 그것이 어떻게 민주화의 과정을 거쳐 대중화되었는지를 설명하고 있다. 리포베츠키는 패션이 모든 시대와 문명에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보편적 현상이 아니라, 특정한 사회적 조건 아래에서 출현한 사회-역사적 구성물이라고 본다. 그는 패션의 기원을 서구의 귀족 사회에서 찾으며, 그것이 인류 보편의 집단생활이나 인간 본성에서 비롯된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한다. 그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패션은 모든 시대 혹은 모든 문명에 속하지 않는다. 그것은 역사에서 확인할 수 있는 출발점을 갖고 있다. 집단생활의 근본적인 힘도 아니고 인간조건 일반에 뿌리를 둔 사회변혁의 영구적인 원리도 아닌 패션은 본질적으로 단일한 사회유형에 제한된 사회 역사적인 구성물이다.2
이 인용문에서 드러나듯, 리포베츠키는 패션을 특정 문명에서만 발생 가능한 ‘문화적 예외’로 본다. 그는 특히 서구 유럽의 귀족 사회를 그 출발점으로 지목하며, 그곳에서 패션은 계급적 위계와 정체성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수단으로 기능했다고 주장한다. 다시 말해, 외양은 단순한 장식이 아니라 사회적 신분을 드러내는 장치였으며, 이를 통해 ‘유혹의 미학’이 정립되었다.
이러한 패션은 시간이 흐르면서 귀족 내부의 경쟁을 넘어 계급 간의 경계까지 넘나들게 되었고, 점차 사회 전체로 확산되었다. 이는 패션이 특정 계급의 특권에서 대중의 일상적 실천으로 변모해가는 ‘민주화’ 과정으로 해석된다. 특히 20세기에 들어서면서 고급 기성복의 등장과 보급은 패션의 계급적 기호를 더욱 희석시켰으며, 이로 인해 패션의 중심 가치도 ‘계급’에서 ‘젊음’으로 옮겨가게 된다.
패션의 종착점은 무의 공허가 아니다
책의 후반부에서는, 서구 귀족 사회에서 기원한 패션이 점차 계급적 표현에서 벗어나 개인의 정체성과 ‘젊음’의 가치를 강조하게 되는 과정을 다룬다. 이는 단순히 유행하는 옷을 입는 차원을 넘어, 패션이 어떻게 현대성을 구성하는 핵심적 요소가 되었는지를 설명하는 대목이다.
리포베츠키에 따르면, 패션의 민주화는 다양한 개인의 표현 욕구를 폭발적으로 분출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이로 인해 사회는 수많은 목소리와 스타일이 겹쳐지는, 일종의 ‘화이트노이즈’ 상태에 이르게 된다. 겉보기엔 이질적이고 산만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그는 이러한 혼란을 ‘무의 공허’로 치부해서는 안 된다고 말한다. 왜냐하면 민주주의란 단지 평등이나 조화를 뜻하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는 차별화와 정체성 구축의 과정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바로 이 지점에서 패션은 큰 사회적 충돌 대신, 사람들 사이에 미세하고 다층적인 차이를 만들어낸다. 그리고 이러한 갈등이나 대립을 일종의 놀이로 전환한다. 타인과의 구별을 위한 경쟁이나 의견의 표출은 이제 패션이라는 무대 위에서 창의적이고 미학적인 표현으로 나타나며, 각기 다른 주체들이 스스로를 드러내는 장이 된다. 그리고 이러한 패션의 민주화는 결과적으로 현대성 그 자체를 상징하게 되며, 우리는 현대 사회의 구조와 개인의 정체성 형성 과정에서의 패션의 역할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다.
“패션은 천사도 악마도 아니며 사회적 갈등을 누그러뜨리지만 주관적이고 개인들 간의 갈등이 깊어지게 만든다. 이것이 패션의 위대함이자 패션의 비참함이다.”3
덧붙이는 비판적 시선 ― 『패션의 제국』을 다시 읽으며
패션처럼 비본질적이고 사소해 보이는 것이 민주주의와 현대성의 탄생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는 리포베츠키의 논의는 매우 흥미롭다. 그러나 분석의 몇몇 측면은 오늘날의 시각에서 비판적으로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리포베츠키는 패션을 서구 귀족 사회에서 기원한 독특한 사회 현상으로 보며, 그것이 점차 민주화되며 개인의 자율성과 표현의 글로벌한 장이 되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이러한 관점은 서구중심주의적 시각이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다양한 문화권에서도 복식은 계급과 정체성을 드러내는 역할을 해왔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논의는 패션이라는 개념을 서구적 역사 틀 속에 가둠으로써 비서구 문화를 ‘패션 이전의 상태’, 혹은 ‘패션의 외부’로 규정하는 위험을 안고 있다.
또한 그가 말하는 ‘패션의 민주화’ 역시 지나치게 낙관적인 해석이라는 비판을 받을 수 있다. 현대의 패션은 소비 자본과 미디어의 영향을 받아 오히려 ‘개성’이라는 이름 아래 더 정교한 동질화를 유도하기도 한다. 대중의 선택은 언제나 자율적인가? 아니면 미디어, 시장, 자본의 논리에 의해 끊임없이 조작되고 있지는 않은가? 오늘날의 패션은 오히려 ‘개성’이라는 이름 아래 더 정교한 동질화를 유도하는 장치가 되기도 하며, 이 점에서 리포베츠키의 민주화론은 신자유주의 시대의 소비 전략과 권력 메커니즘을 간과하고 있다는 비판이 가능하다.
『패션의 제국』은 1980년대 후반에 집필된 이론으로, 디지털 환경과 글로벌 문화의 급변을 반영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 책은 패션 비평과 관련된 고전으로서 존중하되, 보다 탈중심적이고 교차문화적인 시각에서 비판적으로 재해석할 필요가 있다.
글. 김연우
© Textum Club. 일부 콘텐츠는 원저작자 및 출판사에 저작권이 있습니다. 무단 복제 및 사용을 금합니다.
People often say that “fashion goes in circles.” Just when it seemed like the skinny jeans trend had finally passed, whispers of their comeback are once again surfacing—this time, following the wave of Y2K fashion. In a world where everything changes at lightning speed, fashion paradoxically feels as though nothing is ever truly new. Perhaps you’ve found yourself wondering: why do people care so much about something that seems so hollow and meaningless?
Endlessly fleeting, weightless fashion
How did a system built on ephemerality and aesthetic illusion come to occupy such a prominent place in human history? Why did this happen in the West and not elsewhere? How is it that, in an age governed by technology and ruled by reason, we also find ourselves in an age dominated by the absurdities of fashion? How can we begin to think about and explain a system of frivolous, transient change that has become so entrenched it now appears permanent? 1
Gilles Lipovetsky, author of The Empire of Fashion, argues that this transience—this sense of non-essentiality—is not a flaw but rather a defining feature of fashion, one deeply intertwined with the history of Western democracy. His book attempts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contemporary society through the history of fashion, analyzing how fashion extends far beyond mere trends to shape social structures and individual identity. He sees fashion as a vital component of modern life, exploring its complex relationship with individualism and democracy.
The Magic of Appearance
In the first part of his book, Lipovetsky traces the origins of fashion and explains how it became democratized and eventually popularized. He argues that fashion is not a universal phenomenon found across all eras and civilizations, but rather a socio-historical construct that emerged under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him, fashion originated in the aristocratic societies of the West, and it did not arise from universal patterns of communal life or any essential human nature. He writes:
Fashion does not belong to all eras or all civilizations. It has a specific point of origin in history. It is neither a fundamental force of social life nor a permanent principle of transformation rooted in the human condition. Fashion is, in essence, a socio-historical construct limited to a single type of society.2
As this passage reveals, Lipovetsky sees fashion as a “cultural exception,” something that could only emerge in certain civilizations. He specifically identifies Western European aristocracy as its point of origin, where fashion functioned as a visual language for expressing social hierarchy and identity. In this context, appearance was not merely decorative—it was a means of displaying one’s status, and through it, an “aesthetic of seduction” was established.
Over time, this fashion system expanded beyond internal aristocratic competition to cross class boundaries and spread throughout society at large. What had once been a privilege of the elite began to transform into an everyday practice among the general population—a process Lipovetsky interprets as the democratization of fashion. In the 20th century, the emergence and proliferation of high-quality ready-to-wear further diluted the class-based symbolism of fashion, shifting its central value from class distinction to youth.
Fashion’s Destination Is Not a Void
In the latter half of the book, Lipovetsky explores how fashion, which originated in the aristocratic societies of the West, gradually moved beyond its role as a class marker to emphasize personal identity and the value of youth. This shift signals more than just changing styles—it reveals how fashion has become a central element in the construction of modernity itself.
According to Lipovetsky, the democratization of fashion unleashed an explosion of individual expression. As a result, society enters a state of overlapping voices and styles—a kind of cultural “white noise.” While this may seem chaotic or incoherent on the surface, he argues that such complexity should not be dismissed as mere emptiness or meaninglessness. For democracy is not merely about equality or harmony, but about the ongoing processes of differentiation and identity formation.
It is here that fashion plays a vital role. Rather than producing major social conflicts, it generates subtle, layered distinctions among individuals. It transforms tensions and oppositions into a form of play. The drive to distinguish oneself, to express one’s opinions, is now played out on the stage of fashion—as creative, aesthetic acts. Through this process, fashion becomes a space where multiple subjectivities are performed and made visible.
In this way, the democratization of fashion ultimately comes to symbolize modernity itself. It allows us to better understand the structure of contemporary society and the processes through which individual identity is shaped.
Fashion is neither angel nor devil. It mitigates social conflict, yet deepens the rifts between individuals. This is the greatness of fashion—and its tragedy.3
A Critical Addendum — Rereading The Empire of Fashion
Lipovetsky’s argument—that something as seemingly trivial and non-essential as fashion played a central role in the emergence of democracy and modernity—is undoubtedly compelling. Yet certain aspects of his analysis call for critical reexamination through a contemporary lens.
Lipovetsky frames fashion as a unique social phenomenon originating in Western aristocratic society, and describes its gradual democratization as enabling a global arena for individual autonomy and expression. However, such a perspective cannot easily escape the charge of Eurocentrism. While clothing has served as a marker of class and identity in many cultures, his analysis tends to confine the concept of fashion within a Western historical framework, implicitly casting non-Western cultures as either “pre-fashion” or outside of fashion altogether—a problematic implication.
Furthermore, his notion of the “democratization of fashion” may be seen as overly optimistic. Contemporary fashion, heavily influenced by consumer capitalism and media culture, often promotes more sophisticated forms of homogenization in the name of “individuality.” Are popular choices truly autonomous, or are they constantly being shaped—if not orchestrated—by the logics of media, markets, and capital? Today, fashion may function less as a vehicle of self-expression than as a mechanism of conformity disguised as personal choice. From this perspective, Lipovetsky’s theory of democratization seems to overlook the strategic operations of neoliberal consumer culture and its subtle regimes of control.
Written in the late 1980s, The Empire of Fashion inevitably reflects the limitations of its time, particularly in accounting for the digital environment and rapidly shifting global cultures. While the book deserves recognition as a foundational text in fashion criticism, it also calls for a critical reinterpretation from a more decentered, cross-cultural perspective.
Yeonwoo Kim
© Textum Club. Some content is copyrighted by original authors and publishers. Unauthorized use is prohibited.
「ファッションは巡るものだ」とよく言われる。ようやくスキニージーンズの流行が過ぎ去ったと思った矢先、Y2Kファッションブームのあと、またスキニージーンズが戻ってくるという噂がちらほら聞こえてくる。あまりにも速く変化する一方で、同時に、ファッションは何ひとつ新しくないようにも見える。そんなふうに感じたことが、一度はあるのではないだろうか。なぜ人は、これほどまでに空虚で無意味にも思えるファッションに心を奪われるのだろうか?
限りなく儚く、軽やかなファッション
何よりもまず、儚さと美的幻想によって構造化された制度が、いかにして人類の歴史において一定の地位を占めるようになったのか。なぜ他の地域ではそうならず、西洋でだけそのように発展したのか。テクノロジーが支配し、理性が全能であるかのような時代に、なぜ同時に不条理に満ちたファッションの時代が存在するのか。一時的で軽薄な変化が、どのようにして恒常的な制度にまで昇格されたのか——それをどう捉え、どう説明すればよいのだろうか。1
『L’Empire de l’éphémère(ファッションの帝国)』の著者ジル・リポヴェツキーは、ファッションの儚さや非本質的な側面こそが、その本質的な特徴であり、それは西洋における民主主義の歴史と深く関係していると語る。本書はファッションの歴史を通して現代社会の本質を理解しようとする試みであり、ファッションが単なる流行にとどまらず、社会構造や個人のアイデンティティにまで影響を及ぼしていることを分析している。彼はファッションを現代社会における重要な構成要素と捉え、それが個人主義や民主主義といかに関係しているかを探究する。
外見の魔術
本書の前半では、ファッションの起源と、それがいかにして民主化の過程を経て大衆化していったかが説明されている。リポヴェツキーは、ファッションをあらゆる時代や文明に普遍的に存在する現象とは見なさず、特定の社会的条件のもとで出現した社会的・歴史的構築物であると考えている。彼はその起源を西洋の貴族社会に見出し、ファッションは人類共通の集団生活や人間本性に根ざしたものではないことを明確にする。そして、次のように述べている:
ファッションはすべての時代や文明に属するものではない。それは歴史の中に出発点を持っている。集団生活の根本的な力でもなければ、人間の条件に根ざした永続的な変革の原理でもない。ファッションは本質的に、単一の社会類型に限定された社会・歴史的構成物である。2
この引用が示すように、リポヴェツキーはファッションを、特定の文明でのみ成立する「文化的例外」として捉えている。彼はとくに、西欧ヨーロッパの貴族社会をその起点とし、そこにおいてファッションは階級的ヒエラルキーやアイデンティティを視覚的に表現する手段として機能したと主張する。つまり、外見とは単なる装飾ではなく、社会的地位を示す装置であり、そこから「誘惑の美学」が成立したのである。
このようなファッションは、時の流れとともに貴族内部の競争を超えて階級の垣根を越えるようになり、やがて社会全体に広がっていった。つまり、ファッションが特定の階級の特権から、大衆の日常的な実践へと変容していく「民主化」の過程として読み解くことができる。とくに20世紀に入ってからは、高級既製服の登場と普及によって、ファッションの階級的記号性はさらに薄まり、その価値の中心も「階級」から「若さ」へと移行していくのである。
虚無で終わらないファッション
本書の後半では、西洋の貴族社会に起源を持つファッションが、次第に階級的な表現を超え、個人のアイデンティティや「若さ」の価値を強調するものへと変化していく過程が語られている。これは単に流行の服を着るという表層的な行為を超えて、ファッションがいかにして現代性そのものを構成する中心的な要素となったかを示すものである。
リポヴェツキーによれば、ファッションの民主化は、多様な個人の表現欲求を爆発的に解き放つ契機となった。その結果、社会は無数の声やスタイルが交錯する、いわば「ホワイトノイズ」状態へと向かうことになる。一見すると異質で雑多に見えるかもしれないが、彼はこのような混沌を単なる「空虚」だと切り捨てるべきではないと語る。なぜなら、民主主義とは単に平等や調和を意味するのではなく、絶え間ない差異化とアイデンティティの構築プロセスを意味するからである。
まさにこの点において、ファッションは大きな社会的衝突を引き起こすことなく、人々のあいだに繊細で多層的な違いを生み出していく。そして、そのような対立や緊張を一種の遊びへと転換する。他者との差異化や自己主張の欲求は、いまやファッションという舞台の上で、創造的かつ美的な表現として現れるようになる。各々が自らのスタイルを通じて自己を演出し、可視化する場として、ファッションは重要な役割を果たすのだ。
このようにして進んできたファッションの民主化は、やがて現代性そのものの象徴ともなり、私たちは現代社会の構造や個人のアイデンティティが形成されていく過程において、ファッションが果たしている役割をより深く理解することができるようになる。
ファッションは天使でも悪魔でもない。社会的な対立を和らげる一方で、主観的で個人間の葛藤を深めてしまう。これこそがファッションの偉大さであり、同時に悲劇でもある。3
もうひとつの批評的視点――『ファッションの帝国』を読み直して
ファッションのように、本質的でないもの、取るに足らないように見えるものが、民主主義やモダニティの誕生において重要な役割を果たしたというリポヴェツキーの議論は、非常に興味深いものである。しかしながら、その分析のいくつかの側面については、今日の視点から批判的に再検討する必要があるだろう。
リポヴェツキーは、ファッションを西洋の貴族社会に由来する独自の社会現象と捉え、それが次第に民主化され、個人の自律性や表現のグローバルな場となったと主張する。しかし、このような見方は、欧米中心的な視点であるとの批判を免れない。多様な文化圏においても服飾は階級やアイデンティティを表す手段として機能してきたにもかかわらず、彼の議論はファッションという概念を西洋的な歴史の枠組みに閉じ込め、非西洋文化を「ファッション以前の状態」あるいは「ファッションの外部」として位置づけてしまう危うさを孕んでいる。
また、彼の言う「ファッションの民主化」も、過度に楽観的な解釈であるという批判が可能だ。現代のファッションは、消費資本とメディアの影響を受け、「個性」という名のもとに、むしろより精巧な同質化を促す装置となることもある。大衆の選択は常に自律的なのか? それとも、メディアや市場、資本の論理によって巧妙に操作されているのではないか? 現代のファッションは、むしろ「個性」という名を借りた統一化の仕組みである側面も持ち合わせており、その意味で、リポヴェツキーの民主化論は、新自由主義時代における消費戦略や権力のメカニズムを見落としているとの批判が成り立つ。
『ファッションの帝国』は1980年代後半に執筆された理論であり、デジタル環境やグローバル文化の急速な変化を反映するには限界がある。この書はファッション批評における古典として評価されるべきではあるが、より脱中心的かつ交差文化的な視点から、批判的に読み直される必要があるだろう。
キム・ヨヌ
© Textum Club. 一部のコンテンツは原著者・出版社に著作権があります。無断使用を禁じます。
-
질 리포베츠키, 『패션의 제국』, 이득재 옮김, 문예출판사, 1999, 서문, 9쪽. (원제: L'Empire de l'éphémère: La mode et son destin dans les sociétés modernes, 1987)
-
질 리포베츠키, 앞의 책, 26쪽.
-
질 리포베츠키, 앞의 책, 394쪽.
-
Gilles Lipovetsky, The Empire of Fashion, trans. Lee Deuk-jae, Moonye Publishing, 1999, Preface, p. 9. (Original title: L’Empire de l’éphémère: La mode et son destin dans les sociétés modernes, 1987)
-
Ibid., p.26.
-
Ibid., p.394.
-
All quotation is translated into English from the Korean edition of The Empire of Fashion by Gilles Lipovetsky (Moonye Publishing, 1999). Page numbers refer to the Korean edition.
-
Gilles Lipovetsky, The Empire of Fashion, trans. Lee Deuk-jae, Moonye Publishing, 1999, Preface, p. 9.
-
Ibid., p.26.
-
Ibid., p.394.
-
本記事に掲載されている引用文は、ジル・リポヴェツキー著『L’Empire de l’éphémère』(1987年)の韓国語版(イ・ドゥクジェ訳、ムニエ出版、1999年)をもとに、筆者が日本語に翻訳したもので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