텍스텀 클럽
Textum Club

텍스텀 클럽(Textum Club)은 패션비평과 관련된 프랙티스와 출판을 위한 연구모임입니다. 직물을 뜻하는 ‘textile’과 글을 의미하는 ‘text’의 공통 어원인 ‘엮다’는 뜻을 가진 텍스텀 클럽은 패션 비평 아카이브로써 비평적 패션(Critical Fashion) 관련 국내외의 도서를 소개합니다.

비평적 패션 프로젝트 및 담론의 지속적 연구와 확산을 위해 전시, 출판, 연구, 워크숍 등 다양한 활동을 추진하여 국내외의 디자이너, 예술가, 연구자, 패션종사자의 네트워크장으로써 기능하고자 합니다.

Textum Club is a research group dedicated to practices and publishing in fashion criticism based in Seoul. Derived from the common roots of 'textile' and 'text,' meaning 'to weave,' Textum Club introduces books and articles related to critical fashion as part of its fashion criticism archive.

It aims to serve as a networking platform for designers, artists, researchers, and fashion practitioners globally through various activities including exhibitions, publishing, research, and workshops.

멤버
Members
  • 김서희는 세히쿄(SEHIKYO) 프로젝트를 운영하며 착용자들과 협업하는 방식으로 옷을 입는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전시, 워크숍, 프레젠테이션을 통해 전통적 패션 시스템에 의존하지 않는 대안적 프랙티스를 연구하고자 합니다.
    www.sehikyo.org

    The SEHIKYO project is managed by Seohee Kim, who shares innovative ideas about clothing through collaboration with wearers. Through exhibitions, workshops, and presentations, she explores alternative practices that challenge the traditional fashion system, aiming to establish a new paradigm in how fashion is perceived and practiced. More details about her work and contributions can be found on the www.sehikyo.org

  • 김연우는 큐레이터, 연구자, 제작자로 활동하고 있으며, 텍스텀 클럽의 공동 창립자로서 패션 비평과 관련된 연구, 전시, 출판 활동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그녀는 2023 청주 공예 비엔날레를 비롯하여 서울과 제주에서 공예와 예술 관련 다양한 전시를 큐레이션했습니다. 연세대학교에서 철학과 의류환경을 공부한 후, 센트럴 세인트 마틴과 영국 왕립 예술 대학교에서 패션을 전공했습니다. 그녀는 패션 현상의 철학적 분석에 대한 이론과 실천을 연구하며, 패션에 대한 대안적인 시각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www.fashionknowledgehoarder.com

    Yeonwoo Kim works as a curator, researcher, and maker, and is a co-founder of Textum Club, where she engages in research, exhibitions, and publishing related to fashion criticism. She has curated various craft and art exhibitions in cities including Seoul and Jeju, notably the 2023 Cheongju Craft Biennale. After studying philosophy and clothing environment at Yonsei University, she pursued fashion at Central Saint Martins and the Royal College of Art in the UK. She researches the theory and practice of philosophical analysis of fashion phenomena, aiming to provide an alternative perspective on fashion. More details about her work and contributions can be found on the www.fashionknowledgehoarder.com

  • 황혜림은 시각예술 및 공예 분야에서 활동중인 큐레이터입니다. 분단, 장애, 게임, 웹툰 등 경계에 머무는 것들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갖고, 연구 및 전시 활동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Hwang Hyerim is a curator active in the fields of visual arts and crafts. She has a keen interest in topics residing at boundaries such as division, disability, gaming, and webtoons, and is involved in research and curatorial projects related to these themes.

참여자
Contributors
  • 텍스텀 클럽의 활동에 관심이 있는 여러분의 참여를 환영합니다! 패션과 관련된 책이나 주제를 추천해주세요. 또한 문의사항이 있다면 언제든지 저희에게 메일을 보내주세요.

    We welcome your participation in Textum Club’s activities! Please recommend books or topics related to fashion that interest you. If you have any questions, feel free to email us at any time.

문의
Contact

textum.club@gmail.com
@textum.club

textum.club@gmail.com
@textum.club

한국 패션의 스펙타클: 깊이 있는 연구를 꿈꾸며
The Spectacle of Korean Fashion: Aspiring for In-Depth Research
예페 우겔비그
Jeppe Ugelvig
Interview

예페 우겔비그(Jeppe Ugelvig)는 큐레이터, 역사학자, 문화 비평가로, 현재 UC 산타크루즈 대학(UC Santa Cruz)에서 20세기 소비주의와 제품 문화에 대한 예술적 반응에 초점을 두고 박사 과정에서 연구를 진행 중이다.

 

그는 패션, 예술, 문학을 아우르는 비평과 리서치 프로젝트를 소개하는 Viscose Journal(비스코스 저널)의 창립자이며, 예술과 패션과의 관계를 연구한 책 『패션 워크: 1993-2018 25년의 패션 예술』(Fashion Work: 25 Years of Art in Fashion)을 2020년에 출판했다. 예페는 전 세계 여러 기관 및 박물관에서 전시를 기획했으며, 토리노의 폰다치오네 산드레토(Fondazione Sandretto), 런던의 델피나 파운데이션(Delpina Foundation), 그리고 서울의 국립현대미술관에서 큐레이터 레지던스와 연구 펠로우쉽을 수행했다. 가장 최근에는 한스 울리히 오브리스트(Hans Ulrich Obrist)와 함께 2023 샬로텐보르크 비엔날레(Charlottenborg Biennale)를 공동 큐레이팅했다.

 

텍스텀 클럽은 예페 우겔비그가 창동 레지던시에서 <패션 전시>를 기획할 당시, 그를 만나 한국의 패션에 관한 의견을 물어보았다. 서양의 큐레이터의 시각에서 본 한국의 패션은 어떨까?

텍스텀 클럽

한국에서 기획한 <패션전시>을 자세히 소개해주세요. 전시회는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었는데요. 각 부분에 대한 의도나 주제를 공유해주세요.

예페 우겔비그

MMCA 창동에서 열린 제 전시회는 한국의 역설적인 상황에 대입했습니다. 한쪽은 패션 소비가 풍부하고 다른 한쪽은 패션 전시회가 부족하다는 점인데요. 결과적으로, 특히 패션 소매업은 새로운 유형의 패션 전시를 혁신하고 있는 반면, 박물관들은 거의 순수 예술에만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번 전시회는 옷 문화와 관련된 조각, 비디오, 그리고 벽에 설치되는 예술품들을 포함함으로써 열린 전통적인 형태의 패션 전시를 깨려고 노력했습니다. 또한, 훌륭한 스타일리스트 김예영과 함께 새로운 모드의 마네킹 디스플레이를 제안했어요. 그만큼 이번 전시회에서는 새로운 패션 큐레이팅 방식을 제안하고 지금 당장 한국의 패션에 대한 질문을 던지려 했습니다.

텍스텀 클럽

한국에서의 경험을 미루어 보아 한국 패션의 특징이나 가능성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그리고 그 특성은 예술 담론의 측면에서 의미가 있을까요?

예페 우겔비그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공격적인 패션 소비를 하고 있는데, 급격한 혁신, 경쟁, 그리고 속도를 특징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성향은 매우 인상적인 스펙타클을 만들지만 동시에 매우 근시안적인 생산 형태를 만들어내기도 하기에, 역사, 연구, 그리고 독립적인 형태의 패션을 위한 공간이 거의 없다시피 합니다.

 

한편, 정부는 전국적으로 새로운 미술관의 개발을 지원하고 있죠. 여기서, 저는 패션이 기관들에 의해 받아들여진다면 큰 잠재력이 발휘될 수 있다고 봅니다. 그러나 예술과 패션 담론 사이에는 여전히 큰 거리가 있는데, 이는 교육에서 시작되는 구분입니다.

 

그리고 비즈니스적인 의미에서 한국 디자이너들은 현지 제조업에 접근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 점이 그대로 유지되기를 바랍니다.

텍스텀 클럽

최근 중국, 일본, 한국을 방문하셨다고 들었는데요. 패션에 아시아적인 것이 있다고 생각하나요? 아니면 중국, 일본, 한국과 같이 최근에 방문한 나라마다 다른 특징이 있었나요?

예페 우겔비그

아시아는 건설적이고 상상력이 풍부하지만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비록 그것이 서구 세계의 다른 것으로 구성되었다 하더라도, “아시아”에는 특수성이 있어요. 중국, 일본, 한국은 다른 나라들처럼 서로 다르지만, 엄청난 양의 정치적, 경제적, 그리고 사회적 역사를 공유합니다. 또한, 패션 산업에 있어서 일본은 훨씬 더 “서양” 패션 경제로서 매우 다른 역사를 가지고 있다고 말하고 싶습니다. 하지만 의심할 여지없이, 한국과 중국은 패션 산업의 미래이죠.

텍스텀 클럽

패션에 대한 학술적 연구와 분석에 대한 비판이 지속적으로 연구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이러한 경향이 실천으로도 확대되고 있어 디자이너들도 이러한 비평적 관점에서 작업하고자 합니다. 이러한 비평적 패션 실천은 때때로 예술의 영역에 너무 가깝거나 종종 패션 시스템을 넘어서면서 그것의 정의와 역할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기도 하는데요. 비평적 패션과 예술의 관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비평적 패션 실천과 예술을 분리해야 한다고 생각하나요?

예페 우겔비그

저는 프랙티스로써 패션의 특수성을 믿고, 그것이 예술의 기관 내에서 확실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지만, 그것은 구조적으로 그리고 근본적으로 다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패션을 순수한 전시 가치로 생각하지 않습니다; 그러한 패션은 저에게는 패션이 아닐 것입니다. 그렇긴 하지만, 저는 패션이 예술과 예술사의 오랜 자기 분석과 비판적 발전에서 많이 배울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패션이 중요하기 위해서는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단순히 새로움과 수익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성찰적이어야 합니다.

텍스텀 클럽

지금 편집장으로 활동하고 있는 비스코스 매거진(Viscose Magazie)을 소개해 주세요. 잡지를 기획하게 된 배경과 앞으로 잡지를 통해 어떤 연구를 하고 싶은지도 궁금합니다.

예페 우겔비그

비스코스는 패션에 대한 분석, 예술, 디자인, 그리고 학술적 글쓰기에 대한 비판적인 기록들을 혼합하는 이런 종류의 토론을 위한 공간으로 기획되었습니다. 초점은 글에 있기 때문에 우리는 독특한 주제에 대한 새로운 연구를 개발하기 위해 다른 나라의 작가들과 많은 시간을 보냅니다. 본 잡지는 2020년 창간 이후 전 세계 학생, 전문가, 예술인들의 틈새 독자를 찾아냈고, 앞으로 몇 년 동안은 스페셜 북을 출판하며 가지를 뻗어나가고 있습니다. 2023년에는 잡지의 두 가지 새로운 호를 발행할 예정인데요. 하나는 트랜스젠더 패션 생산의 역사에 관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소매업과 상점 건축의 역사에 관한 것입니다.

예페 우겔비그와 비스코스 매거진에 관하여 더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https://jeppeugelvig.com/

https://viscosejournal.com/

Jeppe Ugelvig is a curator, historian, and cultural critic, currently pursuing a PhD at UC Santa Cruz, focusing on artistic responses to 20th-century consumerism and product culture.

 

He founded Viscose Journal, introducing critique and research projects spanning fashion, art, and literature, and published 『Fashion Work: 25 Years of Art in Fashion』 in 2020. Ugelvig has curated exhibitions worldwide, held residencies and fellowships at institutions such as Fondazione Sandretto in Turin, Delpina Foundation in London, and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in Seoul. Most recently, he co-curated the 2023 Charlottenborg Biennale with Hans Ulrich Obrist.

 

Textum Club consulted him during his residency at Changdong, asking his perspective on Korean fashion from a Western curator’s viewpoint.

Textum Club

Please introduce the <Fashion Exhibition> you organized in Korea in detail. The exhibition has two parts; please share us your idea of each part. And who do you think interesting Korean artists, and what message you wanted to convey?

Jeppe Ugelvig

My exhibition at MMCA Changdong responded to a paradoxical condition in Korea: on one end, an abundance of fashion consumption, and on the other, a lack of fashion exhibitions. As a result, fashion retail in particular are innovating new types of fashion display while museums remain focused almost exclusively on fine art. The exhibition tried to break open traditional forms of fashion display by including sculpture, video, and wall-based artworks that engage with clothing culture. We also worked with the brilliant stylist Yeyoung Kim to propose a new mode of mannequin display. As such, the exhibition tried to propose new ways of fashion curating and ask questions about fashion in Korea right now. 

Textum Club

What do you think is the characteristic or potential of fashion in Korea while experiencing Korea? And does that characteristic have the meaning in terms of art discourse?

Jeppe Ugelvig

Korea has the most aggressive fashion consumption in the world, characterized by extreme innovation, competition, and speed. This makes for very impressive spectacle, but also very shortsighted forms of production; and there is little space for history, research, and independent forms of fashion.

 

Meanwhile, the government is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new art museums across the country – here, I see a great potential if fashion would be embraced by institutions. But there is still a big distance between art and fashion discourse, which is a division that begins in education. In a business sense, Korean designers have the great advantage of having access to local manufacturing, and I hope this will remain so. 

Textum Club

Do you think there is something Asian about fashion or something that only Asia has? Or were ther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 you visited recently, such as China, Japan, and Korea?

Jeppe Ugelvig

Asia is a construction and imaginary, but one with a long history – so in that sense, there is a specificity to “Asia” even if it was constructed as the Other to the Western world. China, Japan, Korea are exactly as different from one another as any other country, but they do share an enormous amount of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history. In terms of fashion industries, I would say that Japan has a very different history as a much more “Western” fashion economy. But no doubt, the fashion industries of Korea and China are the future. 

Textum Club

Criticism of academic research and analysis of fashion has been continuously studied, and in recent years, this trend has also expanded to practice, so designers also want to work from this critical perspective. This critical fashion practice is sometimes too close to the realm of art or often beyond the fashion system, raising questions about its definition and role. What do you think of it? What do you think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ritical fashion and art? Do you think we should divide critical fashion practice and art? 

Jeppe Ugelvig

I believe in a specificity of fashion as a practice, and while it has a definite place within art’s institutions, it is structurally and fundamentally different. I do not personally believe in fashion as pure exhibition value; this, to me, would not be fashion. Having said that, I think fashion has a lot to learn from art and art history’s long self-analysis and critical advancement. For fashion to be critical it must be self-reflexive, be in discussion with itself, instead of just pursuing newness and revenue for whatever cost. 

Textum Club

Please introduce your magazine <Viscose>. The background of planning the magazine and what kind of research you want to conduct through the magazine in the future.

Jeppe Ugelvig

<Viscose> was thought as a space for these kinds of discussions: analysis about fashion, mixing critical registers of art, design, and academic writing. Our focus lies on the written word, and we spend a lot of time commissioning writers from different countries to develop new research on unique topics. Since launching in 2020, our magazine has found a niche audience of students, professionals, and art people around the world, and in the coming years, we are now branching out by publishing special books. In 2023, we are publishing two new issues of the magazine as well: one on the history of transgender fashion production, and one on histories of retail and shop architecture. 

For more detailed information about Jeppe Ugelvig and the Viscose, please visit the websites.

https://jeppeugelvig.com/

https://viscosejournal.com/